제대로 보신 게 맞어요. 대개 Tor 중계기에 투입되는 바이트는 나가는 양과 들어가는 양이 같어요. 그러나 예외가 있어요:

DirPort를 열었다면, Tor 클라이언트는 디렉터리의 복사본을 요청해요. Tor 클라이언트의 요청(HTTP GET)에 쓰이는 정보량은 꽤 적어요. 그러나 응답에 쓰이는 정보량은 꽤 많아요. 쓰기 'byte 바이트 수와' '읽기' 바이트 수가 차이 나는 원인 대부분은 이러한 현상에서 기인해요.

중계기가 출구 노드로 작동될 때도 예외에 해당해요. 나가는 접속(exit connection)에서 정보를 읽고(예시: 인스턴트 메시지나 ssh 접속), 이를 Tor 네트워크로 보내기 위해 전체 512 바이트로 압축하기 때문이에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