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AT/라우터 기기에서 포트 포워딩을 하는 절차를 portforward.com에서 알아보세요.

중계기가 내부망에서 실행 중이라면, 포트 포워딩 설정이 필요해요. TCP 접속 포워딩은 시스템에 따라 다릅니다. 하지만 방화벽에 관련 자주 묻는 질문 항목에 기재된 예해가 유효할 수 있으니 확인해보세요.

또한 GNU/Linux에서 iptables를 사용한 방법을 예시로 보여드리면 다음과 같어요:

/sbin/iptables -A INPUT -i eth0 -p tcp --destination-port 9001 -j ACCEPT

외부 인터페이스(인터넷에 접속된 부분)가 다르다면 "eth0"를 변경해야 할 수 있어요. 인터페이스가 하나만 있을 가능성이 있어요(루프백 인터페이스 제외). 따라서 찾는 거 자체는 그렇게 어렵지 않을 겁니다.